본문 바로가기
강아지&고양이&식물/식물정보모든것

식물 키울 때 식물등 중요할까? - 실내 식물광 조명의 모든 것

by 찡찡이단비 2025. 6. 18.

실내에서 식물을 키울 때 자연광이 부족한 환경이라면 '식물등'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기 때문에, 적절한 빛 없이는 생육이 정체되거나 잎이 떨어지고 병충해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식물등이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떤 식물에게 꼭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식물 키울 때 식물등 중요할까?

1. 식물등이 필요한 이유

  1. 자연광 부족 보완 실내 환경은 대부분 창이 작거나 햇빛이 한 방향으로만 들어오는 구조입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빛의 양과 파장이 부족해 광합성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2. 식물의 생장 촉진 식물등은 광합성에 가장 효율적인 청색광(450nm)과 적색광(660nm)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잎 성장과 뿌리 발달, 꽃 생성까지 효과적입니다.
  3. 계절에 상관없는 생육 유지 겨울이나 흐린 날씨가 지속될 때는 일조량이 극히 적기 때문에 식물의 휴면기를 피하거나 생장을 지속시키려면 인공광이 꼭 필요합니다.

2. 식물등이 유용한 환경

  1. 햇빛이 거의 들지 않는 공간 북향 거실, 실내 화장실, 복도 등 자연광이 닿지 않는 장소에 식물을 배치한 경우에는 반드시 식물등이 필요합니다.
  2. 플랜테리어 목적의 공간 인테리어 효과로 배치한 식물이 빛 부족으로 시들거나 잎을 떨어뜨린다면 시각적인 만족도도 떨어집니다. 인테리어와 생장을 동시에 고려할 때 식물등이 중요합니다.
  3. 실내 텃밭, 허브 키우기 바질, 고수, 루꼴라처럼 빠르게 생장하는 허브는 충분한 광량이 있어야 수확이 가능하므로 식물등 없이는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3. 식물등의 작동 원리

  1. 광합성 유도 엽록소가 가장 잘 흡수하는 청색광(450nm)과 적색광(660nm)을 중심으로 빛을 방출하여 광합성을 유도합니다.
  2. 파장 선택적 조절 대부분의 식물등은 식물 성장 단계에 따라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싹 틔우기, 잎 키우기, 꽃 피우기에 맞는 빛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에너지 절약형 LED 사용 기존 백열등보다 열이 적고 전력 소비가 낮은 LED 타입이 대부분으로, 식물에 맞춘 빛만 제공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습니다.

4. 어떤 식물에게 식물등이 더 필요할까?

식물 종류 광 필요도 식물등 필요 여부
몬스테라, 스킨답서스 중간 햇빛이 부족한 실내에서는 필요
선인장, 다육식물 높음 반드시 필요
산세베리아, 스투키 낮음 장기적으로는 보조광 권장
허브류(바질, 민트 등) 높음 생장 및 수확 위해 필요

5. 식물등 선택 시 고려사항

  1. 빛의 색온도와 파장 광합성에 필요한 청색과 적색의 파장을 균형 있게 포함한 LED 식물등을 선택해야 합니다.
  2. 조도와 조명 시간 식물 종류에 따라 500~1500룩스 조도, 10~14시간 조명 유지가 필요합니다. 타이머 기능이 있으면 효율적입니다.
  3. 설치 위치와 조절 기능 식물에서 20~40cm 정도 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며, 암막 커튼 뒤쪽, 창가 반대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각도 조절 기능이 유용합니다.
  4. 디자인과 열 방출 플랜테리어에 적합하도록 심플하고 열이 적은 제품을 고르면 식물도, 공간도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6. 식물등 사용 시 주의할 점

  • 하루 종일 켜두지 말기 – 과도한 조명은 식물의 생장 리듬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 잎과 너무 가까운 위치 주의빛 과다로 인한 엽소 현상이 생길 수 있으니 거리 유지가 필요합니다.
  • 자연광과 병행 가능 – 낮에는 자연광, 저녁엔 식물등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조명이 이상적입니다.

7. 정리

실내에서 식물을 건강하게 키우고 싶다면, 식물등은 선택이 아닌 필수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빛을 밝히는 역할이 아니라, 광합성과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기 때문에 올바른 식물등 선택과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빛 부족으로 인해 식물 상태가 나빠진 경험이 있다면, 오늘부터 식물등 사용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